클라우드 컴퓨팅과 AWS 실습

Presented by 지해인, 구현회

목차

  1. AWS 입문
    1. AWS의 이해#
    2. AWS 비용 정책#
  2. AWS 실습
    1. AWS 회원 가입#
    2. EC2 인스턴스 생성#
    3. 인스턴스 고정 IP 생성#
    4. 웹 SSH 서버 접속 및 서버 설정#

AWS의 이해

  • AWS란?
    • 아마존 웹 서비스(Amazon Web Services)
    • 클라우드 컴퓨팅 플랫폼 중 세계 점유율 1위
    • 비용을 지불하면 필요하면 컴퓨팅 자원을 빌려 줌

AWS와 비용 정책

  • 컴퓨팅 자원을 빌려 준다?
    • 서버, 스토리지, 데이터베이스 등등
    • 계산에 필요한 두뇌, 저장할 수 있는 공간 등

AWS와 비용 정책

  • 구글 드라이브(Google Drive)
    • 구글 드라이브는 내 컴퓨터 안에 없음
    • 서버를 빌리는 것도 컴퓨터 밖의 컴퓨터를 빌리는 것

AWS와 비용 정책

  • 프리 티어
    • 일정 기간, 한도 내의 AWS 서비스를 무료로 이용해 볼 수 있도록 지원
    • 월 750시간(24×31=744시간), 3개월-12개월 무료
    • EC2(12개월), Lightsail(3개월) 등 다양한 서비스 지원
  • 과금을 막기 위한 습관
    • 사용하지 않는 인스턴스(서비스)는 바로 지울 것!
    • 웬만하면 인스턴스(서비스)는 1개만 유지할 것!

- AWS 프리 티어 지원 서비스 및 정책 보기

AWS와 비용 정책

  • AWS Budgets
    • 과금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예산 설정 메뉴
    • 설정한 기간 동안 얼마까지 지출할 것인지 설정하고 그 이상 지출하면 연락이 오게 하는 서비스
    • 과금이 두렵고 aws가 낯설다면 설정은 필수!

1. 상단 검색창에 budgets 검색 후 AWS Budgets 클릭

2. 예산 생성 클릭

3. 템플릿 사용(단순), 제로 지출 예산 그대로

4. 연락받을 메일 주소 입력 후 예산 생성 클릭

5. 생성 완료! (US$0.00 초과 시 메일 발송)

AWS 회원 가입

  • 가입 전 준비물
    • 개인 이메일 (gmail 권장)
    • 결제 정보 입력을 위한 체크/신용카드 (Visa 또는 Master)
    • 확인 코드 수신을 위한 휴대전화
  • 가입 과정은 아래 슬라이드 참고

1. aws 홈페이지 접속 후 우측 상단의 콘솔에 로그인 클릭

2. aws 계정 새로 만들기 클릭

3. 가입할 이메일 주소 입력 (gmail 권장)

4. 입력한 이메일에서 확인 코드 확인 후 입력

5. aws에서 사용할 비밀번호 입력

6. 결제정보 입력 (Visa/Master 카드)

7. 카드 정보 입력

8. 휴대전화 번호 입력

9. 수신한 문자로 본인 인증

10. 기본 지원 - 무료 플랜으로 가입 완료 클릭

11. aws 가입 완료 (Console로 이동 클릭)

참고) 가입이 완료되면 가입한 이메일로 안내 메일 수신

EC2 인스턴스 생성

  • EC2 인스턴스로 개인 서버 구축
    • 사용자의 요청에 매번 응답해 줄 수 있으면 그게 서버!
    • 내 노트북/PC도 세팅을 통해 서버로 만들 수 있음!
      • 사용자가 언제 요청을 할지 모르므로 하루종일 켜 놔야 하는 문제가 있음⋯.

EC2 인스턴스 생성

  • Amazon EC2란?
    • Amazon Elastic Compute Cloud
    • 원격으로 접속할 수 있는 독립된 컴퓨터(서버) 한 대를 빌려주는 아마존 웹 서비스(AWS)
    • 내 컴퓨터를 서버로 쓰려면 종일 컴퓨터를 켜 놔야 하지만 클라우드 서버가 있다면? 상시 서비스 가능!

1. 로그인 시 뜨는 서버 조작 화면(콘솔 홈) - 지역 설정

2. 상단에서 EC2 검색하여 클릭

3. 인스턴스 시작 클릭

4. 인스턴스 이름 입력 (e.g. 위키용 서버)

5. 애플리케이션 및 OS 이미지 - Ubuntu 선택

6. 인스턴스 유형 - t2.micro 선택 (프리 티어 사용 가능)

7. 새 키 페어 생성 클릭

8. 키 페어 이름 입력 - 키 페어 유형 및 형식 선택

9. 키 페어 pem 파일 다운로드 확인

10. 보안 그룹 생성 및 설정 체크

11. 스토리지 구성 초기 설정 그대로 두기

12. 인스턴스 시작 클릭

13. 인스턴스 시작 완료

14. 결제 알림 생성 클릭

15. 혹여 모를 지출을 방지하기 위한 알림 설정

인스턴스 고정 IP 생성

  • 고정(Static) IP란?
    • 집 주소가 계속 바뀌면 우편을 보내기 곤란함
    • 항상 동일한 IP 주소로 고정해 주는 것
    • IP 주소는 숫자로 되어 있으므로 편의를 위해 도메인 이름(domain name)을 사용
      • 네이버 도메인 이름 : naver.com
      • 도메인 네임 구매 방법?
  • EC2 고정 IP 설정 방법은 아래 슬라이드 참고

1. 좌측 상단의 三 모양 버튼 클릭

2. 네트워크 및 보안 - 탄력적 IP 클릭

3. 탄력적 IP 주소 할당 버튼 클릭

4. 할당 버튼 클릭

5. 할당된 IPv4 주소 아래 IP 주소 클릭

6. 탄력적 IP 주소 연결 버튼 클릭

7. 인스턴스, 프라이빗 IP 주소 공란 눌러 선택 후 연결 클릭

8. 탄력적 IP 주소 연결 완료

웹 SSH 서버 접속 및 설정

  • SSH란?
    • 보안 셸(Secure SHell)
      • 셸 = 컴퓨터에게 명령하기 위한 검은 화면
      • 보안 셸 = 암호를 사용하여 보다 안전한 셸
    • 서버에 안전하게 접속하기 위해, 사용자와 서버 간에 사용하는 비밀 언어(프로토콜)
  • SSH 접속 프로그램으로 PuTTY#를 많이 쓰나 편의상 AWS 홈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웹 SSH를 사용!
  • 웹 SSH로 서버에 접속하는 방법은 아래 슬라이드 참고

1. 인스턴스에서 인스턴스 ID 클릭

2. 연결 버튼 클릭

3. 연결 버튼 클릭

4. 웹 SSH 접속 완료

5. sudo apt-get update 입력

6. sudo apt-get upgrade 입력

7. sudo apt-get install apache2 mysql-server php php-mysql libapache2-mod-php php-xml php-mbstring 입력

  • 왜 이런 것들을 설치하나요?
    • LAMP란?
      • Linux + Apache + MySQL(MariaDB) + PHP
      • Linux는 운영체제, Apache는 웹 서버 운영에 필요, MySQL은 데이터 처리용, PHP는 서버용 언어
    • 위키를 사용하기 위한 기본 세팅!

8. Do you want to continue?가 뜨면 Y 입력

9. sudo service apache2 start 입력

10. sudo systemctl status apache2 입력

11. Active: active (running) 이면 세팅 완료

12. 웹 브라우저 주소 창에 퍼블릭 IP 주소 입력 후 확인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