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ed by 지해인, 구현회
1. 상단 검색창에 budgets 검색 후 AWS Budgets 클릭
2. 예산 생성 클릭
3. 템플릿 사용(단순), 제로 지출 예산 그대로
4. 연락받을 메일 주소 입력 후 예산 생성 클릭
5. 생성 완료! (US$0.00 초과 시 메일 발송)
1. aws 홈페이지 접속 후 우측 상단의 콘솔에 로그인 클릭
2. aws 계정 새로 만들기 클릭
3. 가입할 이메일 주소 입력 (gmail 권장)
4. 입력한 이메일에서 확인 코드 확인 후 입력
5. aws에서 사용할 비밀번호 입력
6. 결제정보 입력 (Visa/Master 카드)
7. 카드 정보 입력
8. 휴대전화 번호 입력
9. 수신한 문자로 본인 인증
10. 기본 지원 - 무료 플랜으로 가입 완료 클릭
11. aws 가입 완료 (Console로 이동 클릭)
참고) 가입이 완료되면 가입한 이메일로 안내 메일 수신
1. 로그인 시 뜨는 서버 조작 화면(콘솔 홈) - 지역 설정
2. 상단에서 EC2 검색하여 클릭
3. 인스턴스 시작 클릭
4. 인스턴스 이름 입력 (e.g. 위키용 서버)
5. 애플리케이션 및 OS 이미지 - Ubuntu 선택
6. 인스턴스 유형 - t2.micro 선택 (프리 티어 사용 가능)
7. 새 키 페어 생성 클릭
8. 키 페어 이름 입력 - 키 페어 유형 및 형식 선택
9. 키 페어 pem 파일 다운로드 확인
10. 보안 그룹 생성 및 설정 체크
11. 스토리지 구성 초기 설정 그대로 두기
12. 인스턴스 시작 클릭
13. 인스턴스 시작 완료
14. 결제 알림 생성 클릭
15. 혹여 모를 지출을 방지하기 위한 알림 설정
1. 좌측 상단의 三 모양 버튼 클릭
2. 네트워크 및 보안 - 탄력적 IP 클릭
3. 탄력적 IP 주소 할당 버튼 클릭
4. 할당 버튼 클릭
5. 할당된 IPv4 주소 아래 IP 주소 클릭
6. 탄력적 IP 주소 연결 버튼 클릭
7. 인스턴스, 프라이빗 IP 주소 공란 눌러 선택 후 연결 클릭
8. 탄력적 IP 주소 연결 완료
1. 인스턴스에서 인스턴스 ID 클릭
2. 연결 버튼 클릭
3. 연결 버튼 클릭
4. 웹 SSH 접속 완료
5. sudo apt-get update 입력
6. sudo apt-get upgrade 입력
7. sudo apt-get install apache2 mysql-server php php-mysql libapache2-mod-php php-xml php-mbstring 입력
8. Do you want to continue?가 뜨면 Y 입력
9. sudo service apache2 start 입력
10. sudo systemctl status apache2 입력
11. Active: active (running) 이면 세팅 완료
12. 웹 브라우저 주소 창에 퍼블릭 IP 주소 입력 후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