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file picture

지해인池海印

Researcher & Instructor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AKS)
Seongnam, Republic of Korea

ORCID | Google Scholar
OSF | GitHub | Zenodo
Bluesky | cihayin [at] gmail.com

한국어 CV | English CV

1. 반도체 기본 이론

가. 반도체 개요

1. 반도체 재료

2. 공유 결합

3. 원자 구조와 에너지 띠 (Energy Band)

나. 반도체의 종류

1. 진성 반도체 (Intrinsic Semiconductor)

2. 외인성 반도체 (Extrinsic Semiconductor)

3. N형 반도체 (N-type Semiconductor)

4. P형 반도체 (P-type Semiconductor)

다. PN 접합 다이오드

1. PN 접합

2. PN 접합 다이오드의 바이어스 (Bias)

3. PN 접합 다이오드의 특성

라. 특수 다이오드

1. 제너 다이오드 (Zener Diode)

2. 터널 다이오드 (Tunnel Diode / Esaki Diode)

3. 바랙터 다이오드 (Varactor Diode / 가변 용량 다이오드)

4. 기타 다이오드

2. 반도체 기본 이론

가. 반도체 개요

1. 반도체 재료

2. 공유 결합

3. 원자 구조와 에너지 띠 (Energy Band)

나. 반도체의 종류

1. 진성 반도체 (Intrinsic Semiconductor)

2. 외인성 반도체 (Extrinsic Semiconductor)

3. N형 반도체 (N-type Semiconductor)

4. P형 반도체 (P-type Semiconductor)

다. PN 접합 다이오드

1. PN 접합

2. PN 접합 다이오드의 바이어스 (Bias)

3. PN 접합 다이오드의 특성

라. 특수 다이오드

1. 제너 다이오드 (Zener Diode)

2. 터널 다이오드 (Tunnel Diode / Esaki Diode)

3. 바랙터 다이오드 (Varactor Diode / 가변 용량 다이오드)

4. 기타 다이오드

3.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 (BJT)

가.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의 원리

1. 기본 구조

2. 기본 동작 (증폭 모드)

BJT는 주로 신호를 증폭하는 활성 영역 (Active Region)에서 동작하도록 설계된다.

나. 트랜지스터 회로의 특성 곡선 및 동작점

1. 트랜지스터 회로의 특성 곡선

트랜지스터의 전기적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로, 주로 공통 이미터(CE) 회로에 대해 해석한다.

2. 부하선과 동작점 (Q-point)

다. 바이어스 회로 (Biasing Circuits)

바이어스 회로는 트랜지스터를 원하는 동작점($\text{Q}$-point)에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위치시키기 위해 $\text{DC}$ 전압과 전류를 인가하는 회로망이다.

1. 전압 분배 바이어스 (Voltage-Divider Bias)의 해석

2. 안정도 해석

3. 베이스 바이어스 (Fixed Bias / 고정 바이어스)

4. 이미터 바이어스 (Emitter Bias)

5. 컬렉터 귀환 바이어스 (Collector-Feedback Bias)

4. 소신호 증폭기 (Small-Signal Amplifier)

가. 소신호 증폭기의 동작

1. 소신호 동작

2. 커패시터의 역할

소신호 증폭기 회로에는 $\text{DC}$ 바이어스를 유지하고 $\text{AC}$ 신호만 통과시키기 위해 여러 커패시터가 사용된다.

나. 교류 등가 회로

1. 트랜지스터의 등가 회로

소신호 해석을 위해서는 트랜지스터를 $\text{AC}$ 신호 관점에서 해석하기 쉬운 선형 회로 모델로 대체한다. 이때 $\text{DC}$ 전원들은 $\text{AC}$ 접지(Ground)로 간주되고 커패시터들은 단락으로 간주된다.

2. 트랜지스터의 파라미터 (Parameters)

소신호 해석에 사용되는 주요 파라미터이다.

다. 증폭기 종류

증폭기는 트랜지스터의 세 단자 중 어느 단자를 공통(접지)으로 사용하느냐에 따라 세 가지 기본 형태로 분류되며, 각각 고유한 특성을 가진다.

1. 공통 이미터 증폭기 (Common-Emitter Amplifier, $\text{CE}$)

2. 공통 컬렉터 증폭기 (Common-Collector Amplifier, $\text{CC}$ / 이미터 팔로워, Emitter Follower)

3. 공통 베이스 증폭기 (Common-Base Amplifier, $\text{CB}$)

5. 전력 증폭기 (Power Amplifier)

가. 전력 증폭기의 개념

1. 전력 증폭기의 정의

2. 전력 증폭기의 구분

나. A급 증폭기 ($\text{Class A}$)

1. 직류 부하선과 교류 부하선

2. $\text{A}$급 증폭기의 동작

3. $\text{A}$급 증폭기의 효율 개선

다. B급/AB급/C급 증폭기 ($\text{Class B/AB/C}$)

1. $\text{B}$급 증폭기 ($\text{Class B}$)

2. $\text{AB}$급 증폭기 ($\text{Class AB}$)

3. $\text{B}$급/$\text{AB}$급 증폭기의 효율

4. $\text{C}$급 증폭기 ($\text{Class C}$)

6.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FET)

전계효과 트랜지스터($\text{FET}$)는 $\text{BJT}$와 달리 전압으로 전류를 제어하는 소자이며, 단일 극성 캐리어(전자 또는 정공)만 전도에 관여한다. 세 개의 단자는 게이트($\text{G}$), 소스($\text{S}$), 드레인($\text{D}$)이다.

가. 접합형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text{JFET}$)

1. $\text{JFET}$의 기본 동작

2. $\text{JFET}$의 전달 특성 곡선

3. $\text{JFET}$의 바이어스

$\text{JFET}$는 $V_{\text{GS}}$가 0V 또는 역방향 전압일 때 동작하므로, $V_{\text{GS}}$를 음의 값으로 설정하여 $Q$-point를 안정화한다.

나. 금속-산화물-반도체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text{MOSFET}$)

$\text{MOSFET}$는 게이트가 채널 영역과 얇은 산화막(SiO$_2$)으로 절연되어 있어 게이트 전류가 거의 0인 소자이다. $\text{JFET}$와 달리 증가형공핍형으로 나뉜다.

1. 공핍형 $\text{MOSFET}$ (D-MOSFET)의 구조와 동작

2. 증가형 $\text{MOSFET}$ (E-MOSFET)의 구조와 동작

3. 공핍형 $\text{MOSFET}$의 바이어스

$\text{D-MOSFET}$는 $V_{\text{GS}}=0\text{V}$에서도 $I_{\text{D}}$가 흐를 수 있으므로, 제로 바이어스 (Zero Bias)가 가장 일반적이다.

4. 증가형 $\text{MOSFET}$의 바이어스

$\text{E-MOSFET}$는 $\text{V}{\text{GS}}$가 임계 전압($V{\text{T}}$)보다 커야 전류가 흐르므로, $\text{V}_{\text{GS}}$를 양의 값으로 설정해야 한다.

다. 박막 트랜지스터 ($\text{TFT}$)

1. 박막 트랜지스터의 기초

2. $\text{TFT}$의 동작

7. 연산 증폭기 ($\text{Op-Amp}$)

가. 연산 증폭기의 개념

1. 연산 증폭기의 기초

2. 이상적인 연산 증폭기 (Ideal Op-Amp)

실제 $\text{Op-Amp}$는 복잡하지만, 회로 해석의 편의를 위해 다음과 같은 이상적인 특성을 가정한다.

3. 연산 증폭기의 주요 정수

나. 차동 증폭기 (Differential Amplifier)

1. 차동 증폭기의 동작

2. 차동 증폭기의 입력 신호 방식

다. 비반전 증폭기 (Non-Inverting Amplifier)

1. 부귀환의 개념

2. 비반전 증폭기의 동작

라. 기타

1. 전압 폴로워 (Voltage Follower / 단위 이득 증폭기, Unity-Gain Amplifier)

2. 반전 증폭기 (Inverting Amplifier)